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LTV DTI 무슨 뜻인지 알고 사용하자

반응형

부동산 관련 뉴스나 기사를 검색하다 보면 LTV와 DTI 라는 용어를 굉장히 많이 접하게 됩니다. 많이 접하기는 하지만 정작 정확한 뜻을 모르는 사람들도 많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이 두 용어에 대해 명확하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LTV, DTI 무슨 뜻

 

LTV(Loan To Value ratio, 주택담보대출비율)

 

은행이 집을 담보로 돈을 빌려줄 때 집 가격에 대비해서 최대 어느 정도까지 돈을 빌려줄 수 있는지 정해놓은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시가 5억원인 주택이 LTV가 70% 일 때 계산하는 방법은 5억 원*70%=3.5억 원으로

최대 3.5억 원까지 대출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자 그런데 대출금액이 예상했던 금액과 상이할 때가 있습니다. 어떤 경우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세입자가 있는 집을 샀는데 대출금을 못 갚아서 집이 경매로 넘어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때 세입자에게 우선적으로 보증금을 돌려주기 위해 만약의 경우를 고려, 임차보증금은 미리 빼고 대출금을 산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의 예시를 활용해보겠습니다. 시가 5억 원의 주택 LTV 70%, 전세 1억 5000만 원의 세입자가 있는 경우입니다. 그러면 위에서 계산한 것과 같이 3.5억 원이 나와야 하나 여기서 1억 5000만 원을 뺀 2억 원까지만 대출이 되는 것입니다.

 

DTI(Debt To Income ratio, 총부채상환비율)

 

소득을 고려하여 얼마까지 대출을 해줄 수 있을까에 대한 것입니다.

 

연 총소득에서 매년 갚아야 하는 원금 및 이자가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이 부분은 돈을 빌려가는 사람 즉, 대출하는 사람의 채무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연 소득이 5000만 원이고 DTI가 60% 일 때 결과적으로 매년 갚아야 할 원금과 이자의 합이 연 3000만 원을 넘지 않도록 대출을 규제하는 것입니다. 

 

 

이 정도로 알고 있으면 뉴스나 기사에 LTV와 DTI가 나와도 거부감 없이 반갑게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