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거주 형태에 따른 집 구분

반응형

개인의 성향, 취향, 목적 등에 따라 선호하는 거주 형태는 달라집니다.

그래서 거주 형태에 따른 집 6가지구분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집 형태별 구분

 

1. 단독주택

건축법상 면적 제한이 없고 단일가구를 위해 단독택지 위에 건축하는 형태로 개인의 취향에 맞게 건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금이 있다면 내가 원하는 형태의 집을 지을 수가 있습니다.

2. 다중주택

주방과 화장실을 다른 사람과 공동으로 사용하는 원룸이나 고시원이 여기에 해당되는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용으로 사용하면서 생기는 불편함을 내가 감수할 수 있다면 주거에 관련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3. 다가구주택

세대별로 주방과 화장실이 따로 설치된 집입니다. 함께 살지만 독립된 생활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단독주택에 속하기에 개인별 소유가 안된다는 것은 참고할 사항입니다.

4. 아파트

법적으로는 주택으로 사용되는 층수가 5개 이상인 주택을 의미합니다.

단지가 크고 세대수가 많아서 관리비가 저렴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주거 형태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층간소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5. 오피스텔

업무와 주거를 겸할 수 있는 주택으로 주거가 주목적이면 주거용 오피스텔이라고 합니다. 1인가구가 살기 좋은 환경이기에 쾌적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만 일반 주택 대비해서 주차장이 좁은 곳이 많은 편이며 매매할 때 취득세가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6. 다세대주택

보통 빌라라고 불리는 주택 형태를 의미합니다. 4층 이하의 건물로 세대별 소유와 등기가 가능합니다. 비슷한 형태로는 연립주택이 있는데 다세대주택보다는 면적이 넓은 편입니다.

반응형